전체 글 127

자궁근종이 있으면 두부, 두유는 먹으면 안될까?

두부, 두유 등 콩으로 만든 음식은 에스트로겐이 많아서 자궁근종에 안 좋다. 이런 말,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식품 형태의 대두(두부, 두유, 콩)’를 무조건 피해야 할 근거는 없습니다.다만 연구 결과가 일관적이지 않고, 섭취량과 형태(식품인지, 보충제인지 등), 개인 체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꼭 알아두셔야 해요.오늘은 최신 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자궁근종과 두부, 두유의 관계를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왜 이런 소문이 생겼을까? 이소플라본과 호르몬 이야기 자궁근종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라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양성 종양이에요.두부나 두유에는 이소플라본(Genistein, Daidzein 등)이라고 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는데,..

건강 지식 2025.11.06

활어회와 숙성회, 뭐가 더 맛있을까? 나에게 맞는 회는?

회 좋아하는 분들 많으시죠?많은 분들이 '맛있는 회'라고 하면, 싱싱한 생선으로 바로 뜬 회를 떠올리세요.하지만 요즘은 ‘숙성회’가 오히려 더 맛있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활어회와 숙성회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회가 더 맛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활어회란 무엇인가 활어회(活魚膾)는 말 그대로 살아 있는 생선을 즉시 손질해 썰어낸 회예요. 주로 광어, 우럭, 농어 같은 흰살 생선이 대표적입니다.(그렇다고 숙성하지 않고 무조건 활어회로 즐긴다는 뜻은 아니예요. 광어, 도미 등 흰살 생선도 숙성회로 즐깁니다.)이 방식은 우리나라에서 대중적인 회 요리 방법인데요,우리나라 어촌에서는 오래전부터 바다에서 잡은 생선을 바로 회로 떠먹곤 했습니다. 그래서 '회는 신선할..

음식, 식품 2025.10.29

곤약 - 다이어트에 실제 효과가 있을까? 곤약 다이어트 주의사항과 부작용

곤약이란? 곤약의 정의와 원재료 칼로리가 거의 없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인기있는 곤약은 한자로 ‘곤약(蒟蒻)’이라 하며, 주로 아열대 식물 Amorphophallus konjac의 뿌리덩이(혹은 괴경)를 가공해서 만든 식품입니다. 이 괴경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40%~60% 정도가 글루코만난(glucomannan)이라는 점성이 강한 수용성 섬유인데,글루코만난은 포도당(glucose)과 만노스(mannose)가 β-1,4 결합으로 이어진 다당류로, 아세틸기를 포함한 구조를 지니며, 용해도, 점도 특성은 원료 품종, 가공 방식, 저장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곤약 제품의 형태 곤약은 여러 가공 형태로 제공됩니다. ✅ 곤약 젤리곤약에 각종 향을 첨가해서 칼로리는 낮으면서 달콤한 디저트를 맛있게 즐..

건강 지식 2025.10.17

진짜 우유 고르는 방법 / 가짜우유 구별하는 법

마트에는 수많은 제품의 우유가 판매되고 있습니다.흰 우유 한 팩을 사려고 해도, 다양한 브랜드의 다양한 제품들이 진열되어 있어서 어떤 제품을 골라야할 지 망설여질 때가 있어요.어떤 분은 브랜드를 보고 고르고, 어떤 분은 가격을 보고 고르고, 또 어떤 분은 보다 높은 품질의 우유를 고르기 위해 제품들을 고심해서 비교하고 고르시지요. 그런데, 우유가 아닌데도 우유처럼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제품도 있어요.마트에서 우유를 고를 때, '진짜 우유'를 마시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원유 100% 우유란 무엇인가 원유(原乳, raw milk)는 젖소에서 착유한 우유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원유 100% 우유란, 착유된 우유를 살균 처리만 거쳐 포장한 제품을 말해요. 즉, 다른 원료가 ..

음식, 식품 2025.10.07

명태의 다양한 이름 - 먹태, 노가리도 명태였다.

'생선구이' 하면 고등어 구이나 조기 구이, 갈치 구이 등을 먼저 떠올리고, '생선찜' 하면 아구찜, 코다리찜, '생선조림'하면 고등어조림이나 갈치 조림 등을 떠올려요.'생선탕'으로는 주로 대구탕, 동태탕, 여러 어류를 같이 넣고 만든 매운탕이 있고, 술 마시고 난 후 해장으로 인기 있는 북어국도 있어요.생선 알을 염장한 제품으로는 명란젓이 대표적이예요.위 요리에 '명태'라는 이름은 하나도 안보이지만, 명태를 이용한 요리가 이미 여러 개 있습니다.명태는 같은 생선이지만 가공 방식이나 보관 상태 등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거든요.오늘은 명태의 다양한 이름과,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생태 ‘생태’는 명태를 잡아서 얼리거나 말리지 않은, 생 명태를 생태라고 합니다.간혹 시장에서 동태를 ..

음식, 식품 2025.09.14

연어의 먹음직스러운 주황색은 색소 때문?

연어 살은 일반적인 생선 살과는 다른 색을 띄고 있습니다.보통의 생선살은 흰색, 회백색 계열이 많고, 붉은 색이 있다고 해도 연어처럼 밝고 붉은 선명한 주황색은 아닙니다.연어는 지방이 많아 살에 윤기가 돌고, 특유의 주황색 때문에 더욱 먹음직스러워 보이는데요,우리가 먹는 연어의 자연적인 색은 사실 주황색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럼 연어는 원래 자연 상태에서는 무슨 색이고,우리가 식탁에서 마주하는 연어는 왜 하나같이 선명한 주황색을 띠고 있을까요? 연어의 원래 색은 주황색이 아닌 회색 사실 연어는 태어날 때부터 주황빛 살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처음에는 다른 생선처럼 옅은 회백색에 가까워요.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주황색의 연어를 먹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그 이유는 바로 먹이에 있습니다. 연어는..

음식, 식품 2025.09.02

땀 냄새 심해지는 음식, 체취를 심하게 만드는 음식

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리다 보니, 혹시나 내 몸에서 냄새가 날까, 다른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지는 않을까 신경이 쓰이기 마련입니다.그런데 꼭 여름이 아니라도, 땀을 많이 흘리지 않는데도 땀냄새가 심한 경우가 있는데요,흥미롭게도 땀 자체는 거의 냄새가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땀냄새는 거의 무취에 가깝지만,우리 피부 표면의 미생물이 땀 속 성분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대사 산물이 우리가 맡는 특유의 땀냄새의 원인이 됩니다.특히 겨드랑이 아포크린샘 분비물은 지방산과 단백질 성분이 풍부해 세균의 먹잇감이 되고, 이때 생성된 황 화합물이나 지방산이 강한 체취로 이어집니다. 그렇다면 어떤 음식이 체취를 더 강하게 만들까요? 마늘과 양파 땀냄새나 체취를 강하게 만드는 음식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건 마늘과 양파 같은..

건강 지식 2025.08.25

은행나무 열매, 맛있지만 조심해야 하는 가을 간식

가을 길거리를 걷다 보면, 특유의 꼬릿한 냄새와 함께 바닥에 동그란 열매들이 떨어져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은행나무 열매예요. 은행은 구워 먹으면 고소하고 쫀득한 식감에 술안주나 간식으로 인기 있지만, 동시에 독성을 가지고 있어 먹는 방법과 섭취양에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은 은행열매 먹는 법, 은행알 냄새의 원인, 은행열매 효능과 부작용, 은행 열매 독성, 그리고 은행알 권장량까지, 궁금해하실만한 내용들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은행 열매 냄새의 정체 사실 '은행'이라는 말이 은행나무의 열매라는 뜻이니, 애당초 '은행 냄새의 정체'라는 표현이 맞는 표현일거예요.은행 열매의 과육 부분에는 부탄산(butanoic acid)과 헥산산(hexanoic acid, 카프로산)이라는 단쇄 지방산이 들어 ..

건강 지식 2025.08.18

여름 보양식 장어, 신선한 장어 고르는 법과 피해야 할 사람

한국과 일본,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여름 보양식 하면 장어를 떠올렸습니다. 땀을 많이 흘려 체력 소모가 큰 계절에, 장어는 고단백 식품이자 고열량 식품으로 빠르게 에너지를 보충해 주기 때문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초복, 중복, 말복 같은 삼복더위 복날 음식으로, 일본에서는 여름 특정일 ‘도요노우시노히(丑の日)’에 장어구이를 먹는 풍습이 이어져 왔습니다. 민물장어와 바다장어의 차이장어는 크게 민물장어(뱀장어)와 바다장어(붕장어, 갯장어)로 구분됩니다. 민물장어: 몸통이 두껍고 지방 함량이 높아 풍미가 진합니다. 민물장어 100g 기준 약 236kcal, 단백질 23~24g을 함유하며, 민물장어 소금구이 또는 민물장어 양념구이로 즐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리, 특히 양념구이 시에는 양념과 기름으로 인해 ..

음식, 식품 2025.08.11

민물장어와 바다장어 특징과 어울리는 장어요리

'여름철 보양식'하면 떠올리는 식품 중 하나가 바로 '장어'입니다.흔히 말하는 '기력을 북돋아주고 몸에 좋은' 이미지 외에도, 비싼 음식, 고급 요리라는 이미지 때문에 손님 대접이 필요할 때 선택하는 메뉴이기도 해요.다 같은 '장어'인데 뭐 그리 큰 차이가 있을까 싶지만, 민물장어와 바다장어는 맛부터 영양 성분, 가격, 심지어 조리법까지 전혀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어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민물장어와 바다장어의 차이와 특징, 효능과 장어별 어울리는 요리, 가격 차이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민물장어와 바다장어 차이점가장 큰 차이는 서식지와 '종(種)'이에요. 민물장어는 뱀장어과(Anguillidae)의 ‘일본 뱀장어(Anguilla japonica)’로,바다에서 태어나 민물로 올라오는 회유성 어류입니다..

음식, 식품 2025.08.04